부동산전세권 판례 31

[스크랩] 장기수선 충당금의 법적근거 및 관련 판례

먼저 장기수선 충당금의 법적인 근거는 주택법 제51조에 근거합니다. 아래의 내용입니다. 제51조(장기수선충당금의 적립) ① 관리주체는 장기수선계획에 따라 공동주택의 주요 시설의 교체 및 보수에 필요한 장기수선충당금을 해당 주택의 소유자로부터 징수하여 적립하여야 한다. ② 장기수선충당금..

대법원 93다39676판결.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이 전세권자로서 배당절차에

대법원 1993.12.24. 선고 93다39676 판결 【건물명도】 【판시사항】 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의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의 상호관계 나.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이 전세권자로서 배당절차에 참가하여 전세금의 일부에 대하여 우선변제를 받은 경우 나머지 보증금에 기한 대항력 행..

2010마900 결정 최선순위 전세권자로서의 지위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대법원 2010.7.26. 자 2010마900 결정 【부동산 인도명령결정에 대한즉시항고】 【판시사항】 최선순위 전세권자로서의 지위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대항력을 갖춘 임차인으로서의 지위를 함께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전세권자로서 배당요구를 하여 전세권이 매각으로 소멸된 경우, 변제받지 못한 나머지 보..

2010다4381 판결 토지사용권을 갖추지 못하여 토지소유자가 건물소유자에

대법원 2010.8.19. 선고 2010다43801 판결 【건물퇴거】 【판시사항】 [1] 건물이 그 존립을 위한 토지사용권을 갖추지 못하여 토지소유자가 건물소유자에 대하여 당해 건물의 철거 및 그 대지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는 상황에서 건물소유자가 아닌 사람이 건물을 점유하고 있는 경우, 토지소유자가 건물점..

2009다99914 판결 제3자를 위한 계약인지 여부의 판단 방법

대법원 2010.3.25. 선고 2009다99914 판결 【대여금】 【판시사항】 [1] 제3자를 위한 계약인지 여부의 판단 방법 [2] 갑이 을과의 사이에 을이 무의 갑에 대한 채무를 대위변제하는 것을 조건으로 주택에 대한 전세권을 을에게 양도하기로 하는 약정을 체결하면서 을의 요구에 따라 그 수취인을 병으로 하는 ..

2009다40790 판결 임차인으로서의 지위와 전세권자로서의 지위를 함께..

대법원 2010.6.24. 선고 2009다40790 판결 【손해배상(기)】 【판시사항】 [1]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임차인으로서의 지위와 전세권자로서의 지위를 함께 가지고 있는 자가 임차인으로서의 지위에 기하여 경매법원에 배당요구를 한 경우, 전세권에 관하여도 배당요구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

2009다35743 판결 전세권설정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하였으면서도 담보의

대법원 2010.3.25. 선고 2009다35743 판결 【전세권설정등기 말소등기절차이행 등】 【판시사항】 [1] 실제로는 전세권설정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하였으면서도 담보의 목적 등으로 당사자 사이의 합의에 따라 전세권설정등기를 마친 경우, 전세권부채권의 가압류권자가 선의의 제3자로서 보호받을 수 있는..

2008다67217 판결 채권담보 목적으로 목적물의 인도 없이 설정한 전세권..

대법원 2009.1.30. 선고 2008다67217 판결 【배당이의】 【판시사항】 [1] 채권담보 목적으로 목적물의 인도 없이 설정한 전세권의 효력 및 기존 채권으로 전세금의 지급을 갈음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2] 집합건물의 대지사용권인 공유지분에 관하여 건물부분(전유부분)과 분리하여 처분할 수 없다는 취지..

2007다2718 판결 채무자가 책임재산을 감소시키는 행위를 한 경우

대법원 2010.9.30. 선고 2007다2718 판결 【구상금등】 【판시사항】 [1] 채무자가 책임재산을 감소시키는 행위를 한 경우 그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 [2] 채무초과 상태의 채무자가 적극재산을 채권자 중 일부에게 대물변제조로 양도하는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원칙..

2007다21245 판결 사해행위 당시 아직 성립되지 않은 채권이 ..

대법원 2010.7.15. 선고 2007다21245 판결 【사해행위 취소 등】 【판시사항】 [1] 사해행위 당시 아직 성립되지 않은 채권이 예외적으로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채권이 되기 위한 요건 [2] 채무자가 일반채권자들을 위한 공동담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책임재산의 주요부분을 구성하는 부동산에 관하여 제3자..